1. 흙의 포화도
교재 4-28 페이지 흙의 포화도 = 물의체적 / 토립자(흙)의 체적
교재 5-53 페이지 흙의 포화도 = 물의부피 / 공극의 부피
물의부피 / 공극의부피가 맞을것으로 보입니다만
설명 부탁드립니다
더불어
간극(공기+물)과 공극은 사실상 같은 의미로 쓰인다고 이해하면 될까요?
다만 흙에서는 간극이라 부르고
콘크리트에서는 공극이라 부르고 하는 차이일까요?
2. 교재 5-46페이지 간섭여유
dependent float : 간섭여유 : 간섭여유는 다른 작업에 영향을 주는 여유를 말하는거 아
닐까여?
영향을 주지 않는다면 independent float라고 해야 맞을거 같은데요
감사합니다!
1. 흙의 포화도는 물의부피/공극의 부피로 보시는게 맞습니다.
문제출제 시 공극, 간극등 여러용어로 출제되고 있으나 알고계신대로 공극의 의미로 이해하시면 좋겠습니다.
2. 간섭여유는 일정 계획을 수행하는 동안 예상되는 작업의 변동성 또는 불확실성에 대한 여유 시간입니다. 이는 작업이 예상보다 더 오래 걸릴 수 있는 경우에도 후속작업에는 간섭이 없는 여유를 의미합니다.
따라서 간섭여유는 다른작업에 영향을 주는 여유가 아니라 영향을 주지않는 여유로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. 감사합니다.